본문 바로가기

서울 자취 일상/인생공부

트라우마에 따른 방어기제에 대해 알아보자

반응형

트라우마를 입은 사람들에게 일어나는 방어기제 소개.

 

원만한 사회생활과 제대로 된 인간관계를 위해서는, 자신의 방어기제를 제대로 이해하고, 인지하며 제어할 줄 알아야 한다. 다음은 대표적인 방어기제에 대한 설명이다.

 

1.부정(Denial) 

감정적 상처가 된 사건을 믿지 않거나 인정하지 않으려는 것. 언어적 부정으로 시작하여 불안이 커지면 화제를 못꺼내게 하려고 공격적이고 폭력적인 행동을 하기도 한다. 원치않는 화제가 나오면 대화에서 빠지고 다른 장소로 피하거나, 갑자기 싸우려 드는 것 모두가 부정의 행동이다.

 

2. 합리화(Rationalization)  사건을 그렇게 심각하지 않다고 자신과 다른 사람을 설득하려고 하는 기제. (근친상간 등) 

 

3. 행동화(Acting out), 건강한 방식으로는 전달할 수 없는 욕망을 표현하거나 감정을 표출하는 극단적 방식, 아이들이 떼쓰는 것도 감정을 어떻게 전달해야 할 지 몰라서 행동화하는 것 이 기제를 감정적 상처가 된 사건과 관련해서 이용하려면, 캐릭터를 어떤 특정한 반응이 예상되는 상황에 놓고, 과장되거나 예기치 않은 방식으로 반응하게 하면 된다.

 

4.퇴행(Regression), 스트레스로 인해 이전의 발달 수준으로 돌아가는 대처 기제.  Ex) 성인이 대학생이나 초등학생처럼 옷을 입으려  고집하는 경우 등

 

5. 해리(Dissociation), 육체,감정, 세상의 모든 것 등과 떨어져있다고 느끼는 상태. 감정적 상처를 준 사건과 연관된 것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려는 수단이다. 심지어 정신이 해리되어 육신과 떨어져 부유하며, 자신에게 일어나고 있는 일을 제삼자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것도 해리의 예. 기억상실도 해리 중 하나이다.

 

6. 투사(Projection), 자신의 바람직하지 않은 속성,태도,동기를 다른 사람에게 돌리는 기제. 보호자에게 언어폭력 당한 소년이 자신이 들은 말을 친구에게 고스란히 쏟아부으는 것 캐릭터는 이러한 꼬리표를 다른 사람에게 붙이며 자신을 그 꼬리표와 분리한다. 꼬리표가 사실인지 거짓인지는 중요하지 않다. 사실이라고 믿으며 자신의 기분을 달래는 것이다.

 

7. 치환(Displacement) 원인을 제공한 사람이 아닌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감정을 나타내고 반응하는 행동 억압(Repression) 어떤 행동, 사고, 감정을 무의식적으로 거부하는 것. 이 기제는 자신이 회피하고 싶은 것을 생각하려 하지 않고, 존재한다는 사실도 거부한다. 

 

8. 보상(Compensation) 상처받았던 사건이 일어났을 때 갖지 못했던 것을 보상하기 위해, 또는 잃은 것을 되찾기 위해 이루어진다.  약하다는 이유로 괴롭힘 당했던 소년은 자신의 힘을 증명하려는 강한 욕망 사건은 캐릭터의 '행동'을 통해 보여주어야 한다. 그래야 사건이 조금씩 드러나며 독자들의 관심을 계속 붙잡을 수 있고, 아직도 캐릭터들을 숨막히게 하는 상처의 무게를 느낄 수 있게 한다.

반응형